2016년 4월 9일 토요일

타이밍

일이 몰려 조금은 걱정했던 한 주였는데 다행히 잘 지나갔다. 회사 리서치도 다 해줬고 중국 리폿도 그림을 다 붙여 넣었다. 중국 리폿은 2월에 거의 써놨던 것인데 1) 중국의 은행 시스템을 들여다보고, 2) 자금유출입과 금리가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해보느라 시간을 많이 썼다. 장황했던 글을 줄이는 데에 소요된 시간도 짧지 않다. 글을 쓰고 나눠 읽고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글을 주기적으로 생산해서 그걸로 먹고사는 일은 쉽지 않겠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읽고 쓰는 것 모두 느리다.

어제는 김상무님이 리폿을 보고 전화를 주셨다. 뷰를 갖는 것은 좋은데 1) 어떤 instrument를 선택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그리고 2) 위안화 절하가 시작되는 tipping point와 timing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는 말씀을 해 주셨다. 결국 무엇을 언제 사거나 팔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 어제 오늘 생각해 봤는데 잘 떠오르지 않는다. 특히 포지션을 가는 수단에 대해서는 krw short 말고는 고려해본 적이 없는 터라 오늘 다시 통화를 요청해 상무님께 설명을 들었다. 아주 기본적인 것들에 대한 질문임에도 자세히 설명해 주셔서 정말 감사했다. 수단별 설명을 듣고나니, 통화가치를 방어하려는 중국의 노력으로 위안화 움직임이 상당히 bumpy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option이 편안하겠다는 막연한 느낌은 든다. 좀 더 시간을 갖고 고민해 볼 생각.

미국에 있는 친구도 어제 꽤 자세한 피드백을 보내왔다. 결국 이 친구도 결과적인 위안화 절하에는 공감하지만 타이밍이 중요하다고 보는 셈.

I definitely agree on the conclusion, which is to say China concern will resurface if Fed becomes hawkish again. And I think the biggest risk not only for China but for global markets is U.S. inflation getting out of control and forcing Fed to hike sooner than desired.
 
Some points I want to highlight:
-          We should not underestimate how much control the Chinese gov has over its people and the economy. Yes, the government made serious mistakes along the way (i.e. Aug deval, circuit breaker in Jan), but it is able to make decisions very fast and effectively (unlike any other governments in developed markets). This means the government has more influence over risk factors you highlighted – capital controls and NPL expansion – and so far seems to be working as proven by strong housing market and slowing capital outflows. In regards to NPLs, they are already talking about debt-to-equity swap (although very vague in how they plan to execute it), and I would expect more policy measures on this front. Also, we can’t ignore the fiscal policy as the government specifically laid out greater deficit target for this year and Xi Jinping seems adamant around his absolute growth target of ‘at least 6.5%’. Recent manufacturing/industrial data seem to support this idea.
o   I think this is a good example of how effective the government can be – the government said it will punish currency speculators when concern around RMB deval was at its peak, and some of the largest HFs got burned big time (here).
 
-          Another thing is trade balance- China still runs at $40-50bn trade surplus every month (current account at $60-80bn/month), and this will always cushion capital outflow pressures.
-          Also, weaker currency conflicts with current rebalancing of the economy. As you pointed out, weaker currency would not only hurt the economy by exporting deflation to China’s trading partners, but it could also hurt the retail sector by deteriorating consumers’ purchasing power
 
But China does seem to be in a place where near-term risks are manageable while medium-term risks are not. Therefore, any renewed concern around global economy (which is led by the U.S. pretty much) should make sentiment a lot worse if China doesn’t address its problems quickly. And at this point, I don’t think there is much to be too optimistic about the global economy, especially when S&P margins peaked and if Fed is likely to hike more than what the market expects. And I do agree that things will get a lot worse in H2 for China as fiscal policy (which seems to be front-loaded) rolls off and USD strength comes back.


 
끝으로 어제부터, 그리고 지금 글을 쓰면서 드는 생각들을 정리해 두자면,

1) CNH를 직접 건드리는 것 보다는 KRW short이 더 편안하다. 중국이 만약 capitlal control을 더욱 강화하는 지경까지 내몰린다면 CNH 흐름은 불안정해 질 수 있어도 KRW 약세는 강화될 것이므로.

2) 그래도 CNH를 해야한다면 option이 제일 나아보인다. 리폿에 썼듯 크게 봤을 때 어떤 나라의 통화가 약세로 가는 경우는 두 가지라고 본다. 1) 중앙은행의 적극적 통화완화 정책, 2) 국가 펀더멘털 훼손에 따른 결과적인 약세. 1)의 경우는 통화의 약세가 꽤 일관적인 기울기로 진행된다. 하지만 2)의 경우는 방향성은 약세이지만 중앙은행이 이를 저지하는 과정에서 대단히 bumpy한 흐름이 발생한다(아마 그렇게 bumpy하다가 종국에는 크게 절하되면서 끝날 것이다). 중국은 2)에 해당한다. 1)의 통화 약세에서는 소위 말하는 trend following, 즉 따라가서 포지션 잡는 트레이딩이 어느정도 가능하다. 그런데 2)는 따라갈때 쯤이면 중앙은행이 개입하므로 문제가 잠잠해졌을 때 포지션을 가 놓는 것이 더 낫다. 즉, 비싸게 사서 더 비쌀 때 청산하려는 마인드보다, 철저하게 쌀 때 잡아서 기다리겠다는 마인드가 필요하다.

3) 그렇다면 그 타이밍은 언제인가? 최근 꽤 깊게 진행된 달러약세 흐름에서도 위안화 픽싱은 6.47이하로는 더 크게 내려가지 않는 모습이다. 미국 금리는 더 하락하는 것이 불편해 보일 정도로 연준의 dovish함을 fully 반영 중이다. USDCNH를 지금보다 훨씬 더 낮은 가격에 진입할 기회가 과연 있을까? 언제 다시 튈지는 아직 모르겠으나 레벨은 현재의 레벨이 매력적이다. 12월 근방 만기의 option을 지금 가 놓는 것은 괜찮은 선택일 것.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