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0월 28일 화요일

How much time is left for the BOK?

미국이 작년부터 금융위기의 그림자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모습을 보였던 것과 달리, 여타 글로벌 지역의 개선세는 여전히 미약하기만 했다. 이에 일본은 2013년 아베노믹스로 가장 먼저 대응을 시작했고 유로존과 한국도 올해 들어 그 뒤를 쫓기 시작했다. 한국의 경우 타이밍이 다소 늦은 것은 사실이지만, 뒤늦게나마 부양에 나선 것은 그나마 다행인 일이다. 이주열 총재의 취임 직후 스탠스로 미루어보건데, 최경환의 등장이 없었더라면 한은은 끝까지 미온적 태도를 유지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은은 언제까지 완화정책을 펼칠 수 있을까?


금통위 기자회견 등에서 내외금리차 축소에 따른 자본유출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내외금리차는 통화정책 판단에 큰 영향을 줄만큼 좁혀져 있지 않다. 내외금리차가 한은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했던 국면은, 2004년 8월과 11월 기준금리를 각각 25bp씩 인하한 뒤 반년 정도가 지난 2005년 3월경부터 2006년말까지다. 당시 Fed의 단계적인 금리 인상으로 한-미간 정책금리는 역전되었고, 3년물 기준 양국의 시장금리차는 -25bp ~ +100bp 수준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재밌는 점은 미국과 한국의 정책금리가 같아진 2005년 6월부터 시장금리차가 확대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한은이 정책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2005년 11월보다 5개월 빠른 시점인데, 결국 한은이 급격히 따라올라오는 미국의 정책금리에 부담을 느끼고 금리를 인상할 것을 시장은 이미 반영하고 있었던 셈이다.

양국의 통화정책 디커플링이 시장금리차에 선반영되는 것은 금번 한은의 정책금리 인하 전에도 관찰되었다. 200bp 수준에서 머물던 양국의 시장금리차는 6월부터 빠르게 축소되었고, 한은은 8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한다. 그 이후로 지금까지 시장금리차는 꾸준히 축소되고 있는데, 이는 시장이 양국의 통화정책 디커플링의 추가 진행을 기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준의 계획대로 미국의 정책금리가 내년 2~3분기부터 인상 사이클에 진입하고, 그것이 2000년대 중반보다는 덜 공격적인 형태(예를들어 두 FOMC마다 25bp의 인상)로 이루어진다는 느슨한 가정을 해 보면, 미국의 정책금리가 1.5%에 도달하는 시기는 아무리 늦어도 2016년 3분기 근처가 될 것이다. 물론 현재의 고용 개선세가 유지되고, 첫 금리 인상에서 시장 충격이 예상 이하라면 도달 시기는 더욱 앞당겨 질 수도 있다.

결국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 카드를 두 차례 정도 더 사용하고, 그 수준의 기준금리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은 넉넉히 잡아도 1년 6개월 남짓. 그 이후에는 추격해오는 미국 정책금리에 대한 부담으로 한은도 더 이상 완화정책을 펼칠 수 없을 것이다. 한은에게 남은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