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월요일에 델타를 다 없애고 플래트너만 가지고 가다가, 목요일 CPI 부진에도 미국채가 강세를 보이지 못한 부분이 불편해 약간의 숏을 잡았다. 금요일 미국채 10년은 3.0%에서 마감. 수급상 숏이 많다는 증거는 아직 없고, 레벨은 이제 롱을 가 볼만한 구간에 도달했고, 강세를 유발할 수 있는 특별한 요인이 보이지는 않는다. 이런 조합이라면 롱을 가거나 또는 적어도 숏은 접어야 맞다고 생각.
-2-
예전의 스타일대로라면 FOMC 전까지는 약세 관점을 유지하고, 발표 직전 즈음에 반대 포지션을 고려해야겠다는 판단을 했을 것. 요즘에는 가격이 어느 수준에 도달하면 일단 한 번 행동한 뒤, 가격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추가로 행동하는 스타일을 시도해 보는 중. 가격에 대한 가중치를 가장 높게 두고 있기 때문이다.
-3-
매매를 정리하다보니 재료라는 부문 내에서 가장 영향력과 승률이 높은 것은 역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지표나 경기를 주제로 하는 포지션들로 버는 것이 제일 난이도가 높았다.
-4-
기정사실화된 방향으로 베팅을 해서 성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미국 기준금리 인상기의 미국채 2년물 숏 만큼은 다른 이야기 같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기정사실화되어 있는 것 아닌가' 라는 의구심을 접고 2년 숏을 가져갔던 사람이 승자.
-5-
출장을 가서 사람들을 만나면 무엇에 대해 물어보고 대화할 것인지 슬슬 정리해 보는 중. 일단 당장 떠오르는 것들은,
1) 지금 미국 경제가 late cycle인가?
2) 작년은 글로벌 호황 동조화 국면이었고 지금은 미국이 독주하는 구도. 이 다음은 미국이 둔화될까, 아니면 미국 독주가 더 연장되다가 오히려 나머지 국가들이 회복될까.
3) 중국이 무엇을 내 놓아야 미국이 만족할까. 환율? 또는 기술 유출 중단?
4) 트럼프가 중간선거를 앞두고 인프라 확대안을 미리 부각시킬 것인가? 아니면 중간선거에서 승리한 뒤에야 인프라 확대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인가?
5) 연준이 내년에 기준금리를 4회 인상하는 것, 그리고 연중 내내 동결하는 것 중 무엇이 더 서프라이즈일 것 같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