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0년 금리가 주간으로는 약 13bp, 월초 저점 대비로는 약 23bp 상승했다. 2월에 2.95%를 기록한 이후 3월 중순까지 2.80%~2.90%대 박스권을 형성하다가, 3월 FOMC를 기점으로 2.73%까지 하락했었는데 금요일 종가는 2.96%. 금리가 전 고점인 2.95% 근방이고, 3.0%라는 빅피겨를 눈 앞에 둔 상태이므로 가격만 보고 접근한다면 롱을 고려해 볼만한 시점. 다만, 금리 반락을 노린 박스권 접근이 편안할 만큼 정책이나 펀더멘털의 변화가 정말로 없는 것인지 여부를 체크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근 2주 동안의 금리 상승을 보는 관점들을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인플레이션 지표에 대한 경계
고용이 호조이니 임금이 오를 때가 되었다는 진부한 뷰들을 제외하더라도,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가 상방 서프라이즈를 보일 것이라는 우려가 꽤 존재하는 것 같다. 2개월간 상승했던 의류 가격의 역기저효과를 제외하고 보면 미국의 3월 CPI가 나쁘지 않았다는 점, 제조업 지표 내 물가 세부지수들의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 등 지표의 디테일들을 종합해봤을 때, 다음주의 PCE나 그 이후의 물가 지표 흐름에 대해 경계심을 갖는 것은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기저효과에 따른 물가 지표 호조가 이미 예상되어있던 상황에서, 지금 발표되고 있는 수준의 지표들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자극되었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오히려 지표의 경우, 미국과 미국 외 지역의 지표 강도 괴리가 미국 지표의 둔화로 귀결될 리스크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 중.
2. 유가 상승 발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지난 목요일의 OPEC 미팅, 그리고 5월 12일 이란 핵합의 연장을 앞둔 불확실성으로 유가가 상승해 기대인플레이션을 자극 중이라는 관점. 개인적으로 이 쪽에 무게를 두고 있었지만, 지난 금요일 장 중 트럼프의 유가 관련 트윗으로 유가와 BEI가 정체되는 와중에도 10년 금리가 오르면서 설득력이 강한 로직은 아니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유가나 BEI를 금리와 같이 그리면 늘 그럴듯하게 보이기 때문에(당연히 동행한다) 조심해야 한다는 점을 알고 있음에도 자꾸 현혹되는 것 같다.
3. 무역분쟁과 시리아 이슈 해소
4월 12일 시리아에 대한 공격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는 미 국방장관 발언에 10년 금리가 2.80%을 돌파하고, 4월 14일의 실제 공습이 불확실성 해소로 연결되어 금리가 2.85%에 도달한 것까지는 맞다. 그러나 보아오 포럼의 시진핑 연설 하나로 미중 무역분쟁 이슈가 완전히 해소되었는지는 의문. 무엇보다 '리스크오프 요인들의 소멸' 이라는 컨셉으로는 19일부터 진행된 위험자산과 채권의 동반 약세가 설명되지 않는다. 만약 리스크오프 요인들의 소멸이 맞다면 위험자산은 강세를 보였을 것.
4. 미국 재정확장의 여진
최근의 금리 상승도 트럼프의 재정확장이 금리를 끌어올리는 국면의 연속선상에 놓여있다는 관점인데, 틀리다고 볼 수는 없지만 그게 왜 지금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대답을 내놓기는 어려운 관점. 12월의 세제 개혁안 상원 통과를 시작으로 1월 트럼프의 연두교서까지 연초에는 관련 이벤트들이 포진해 있었으나, 지금은 재정 이슈를 부각시킬 일정이 없는 상황이다.
5. 중국의 stealth easing
주말에 떠올린 개인적인 관점. 중국은 지난 16일 연준 기준금리 인상 대응 차원에서 14일짜리 역레포 금리를 5bp 인상했는데, 이는 2017년 초 10bp씩 인상하던 것에 비하면 다소 완화적인 대응이었다(지난 12월에도 5bp만 인상). 그리고 이어서 17일에는 일부 은행들에 대한 지준율을 1%p 인하. 3월말 대비 중국 1년 금리는 35bp 하락, 10년 금리는 20bp 하락해 있다. 뉴스플로우상 관찰되는 중국 정책담당자들의 컨센서스는 강달러에서 약달러로 이동 중. 만약 위안화 약세 노이로제에서 벗어난 중국의 상대적 완화가 철광석을 비롯한 산업 상품들의 센티멘트를 상방으로 이끈다면, 중국이라는 의외의 요인으로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이 촉발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이 관점이 정확했다면 지난주 상해지수가 약세를 보이지 않았을 듯. 염두는 해두되 주요 드라이버로 삼을 스토리는 아닌 듯 싶다.
결론적으로 최근의 금리 상승을 설명할 수 있는 명확한 로직을 찾기는 어렵다고 생각. 남은 것은 '이유를 모르더라도 가격을 일단 따라갈 것인지' 아니면 '이유를 모르겠으니 반대의 흐름을 노릴 것인지'의 문제. 1) 레벨이 전고점 부근이고, 2) 통화정책이나 재정정책 관련 배경이 없다면 돌파를 따라가는 것은 자제하는 편이 좋아보인다는 점에서, 나는 후자의 접근을 지지. 이번주 ECB와 GDP를 시작으로 재료들은 등장하니, 남은 것은 수급적 단서 포착.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