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각각의 논리를 따져보는 것을 떠나서, 중장기적인 미국 주식 상승 뷰를 가진 나에겐 주장들이 충돌하는 상황 자체가 편안함을 느끼게 해준다. 버블 논란을 수반하지 않는 자산 가격의 multiple upgrade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은 버블이 터지는 것이 두려워 관망하는 것 보다는, 발이라도 담가 놓고 고민하는 것이 나은 국면이다.
다만 나는 아직 유동성 버블 쪽에 조금 더 무게를 두고 있어, 포지션을 무겁게 구축할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 중이다. 베스트 시나리오는 유동성으로 시간을 버는 동안 실물로 온기가 도는 것이 확인되는 것이지만, 그러한 경우 연준의 금리 인상이 가시화되면서 주가에는 일시적 부담 요인이 될 것이다. 그리고 만약 실물 전이 없이 유동성만으로 금번 강세가 마무리된다면, 그 때는 빠져나오기 어려울 정도의 가파른 조정이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지금 미국 주식 long은 조금이라도 낮은 가격에, 그리고 의외의 조정에도 다치지 않을 size로 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앞 문장은 모든 포지션 구축에 적용되겠지만, 지금은 특별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럴 때에는 펀더멘탈한 분석이나 거시경제 지표보다도, 단순한 기술적 접근이 큰 도움이 된다.
미국과 달리 한국은 오히려 전략 수립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지난주 발표된 최경환 경제팀의 정책들은, 실효성을 차차 확인해야겠지만 방향성 자체는 주가에 긍정적이다. 유보금에 대한 과세는 QE처럼 직접적은 아니더라도 상당한 완화적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 미국의 경우 2013년 S&P 기업들이 자사주매입과 배당에 쏟은 금액이 동기간 QE 규모의 절반을 훌쩍 뛰어넘는다.
(source : factset)
하지만 불편하게 느껴지는 점도 적잖다. 유보금 과세로 임금이 상승할 것 같지는 않고, 배당이 확대된다 한들 가계가 그 혜택을 누릴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결국 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산가격 상승만 촉발될 가능성이 있는 것. 심지어 그 자산이 주식이 아니라 부동산일 수도 있다.
기술적으로도 코스피의 길고 좁은 박스는 여전히 부담스럽다. 언젠가 따로 글을 쓸 일이 있겠지만, 상식과는 달리 가격은 range가 좁고 길수록 첫 break out의 신뢰도가 매우 낮다. 이번에 박스 상단을 돌파하더라도 조급할 필요는 없을 것. 트렌드가 상방이 맞다면, 살 수 있는 시간은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